상수도 급수현황
[단위 : 명]
년도 | 급수대상 총인구 |
급수인구 | 보급율(%) | 시설용량 | 급수량 (㎥/일) |
1인당 급수량 (ℓ) |
급수전수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2019 | 10,010,983 | 10,010,983 | 100 | 4,800,000 | 3,049,485 | 304 | 2,245,394 |
2018 | 10,049,607 | 10,049,607 | 100 | 4,800,000 | 3,105,309 | 309 | 2,216,000 |
2017 | 10,125,000 | 10,125,000 | 100 | 4,800,000 | 3,057,750 | 302 | 2,187,000 |
2016 | 10,204,057 | 10,204,057 | 100 | 4,450,000 | 3,100,748 | 303 | 2,156,122 |
2015 | 10,282,821 | 10,282,821 | 100 | 4,450,000 | 3,098,753 | 301 | 2,117,075 |
상수도관
[단위 : m]
년도 | 합계 | 도수관 | 송수관 | 배수관 | 급수관 |
---|---|---|---|---|---|
2019 | 13,504,100 | 84,101 | 508,997 | 9,783,311 | 3,127,691 |
2018 | 13,571,215 | 83,227 | 531,952 | 9,795,858 | 3,160,178 |
2017 | 13,587,061 | 83,227 | 525,481 | 9,795,654 | 3,182,700 |
2016 | 13,648,892 | 83,226 | 523,022 | 9,815,091 | 3,227,552 |
2015 | 13,696,857 | 84,578 | 530,471 | 9,813,904 | 3,267,905 |
- 도수관
- 원수를 취수지점의 취수시설로부터 정수장까지 관수로 방식에 의하여 보내는 수도관
- 송수관
- 정수처리된 물을 정수장(정수시설)로부터 배수구역(배수지)까지 정수처리된 물을 보내는 관
수도관의 구경이 500m/m이상을 말함.
- 정수처리된 물을 정수장(정수시설)로부터 배수구역(배수지)까지 정수처리된 물을 보내는 관
- 배수관
- 정수된 수돗물로 급수구역내의 수요자에게 분배하는 관 또는 배수시설에 의하여 소요압력(1.5~4.0kg/㎠)하에서 소요량만을 급수구역에 운송하며, 배수지 또는 배수펌프(배수기지)를 기점으로 급수장치까지 배수를 목적으로 부설한 관
수도관의 구경이 75m/m에서 450m/m까지를 말함.
- 정수된 수돗물로 급수구역내의 수요자에게 분배하는 관 또는 배수시설에 의하여 소요압력(1.5~4.0kg/㎠)하에서 소요량만을 급수구역에 운송하며, 배수지 또는 배수펌프(배수기지)를 기점으로 급수장치까지 배수를 목적으로 부설한 관
- 급수관
- 도로에 매설된 배수관에서 분기되어 각가정으로 급수하는 관
1971년 이전에는 거의 아연도강관을 사용하였으나, 1972년 11월 24일부터는 PVC과(KS품)을 병용하여 사용하도록 하였으며, 스테인레스관과 동관은 1987년 초부터 등장하기 시작하였음.
- 도로에 매설된 배수관에서 분기되어 각가정으로 급수하는 관
급수사용량 및 사용료
[단위 : 1, 000㎥, 백만원]
년도 | 합계 | 가정용 | 공공용 | 일반용 | 욕탕용 | 기타 | 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사용량 | 사용료 | 사용량 | 사용료 | 사용량 | 사용료 | 사용량 | 사용료 | 사용량 | 사용료 | 사용량 | 사용료 | |
2019 | 1,114,162 | 630,246 | 708,380 | 285,372 | 79,534 | 64,274 | 256,939 | 253,782 | 20,210 | 9,640 | 49,099 | 17,178 |
2018 | 1,116,895 | 633,153 | 714,080 | 287,600 | 79,731 | 64,205 | 258,448 | 255,417 | 21,533 | 10,267 | 43,103 | 15,664 |
2017 | 1,104,269 | 626,051 | 713,075 | 287,320 | 78,133 | 62,549 | 253,036 | 251,562 | 22,596 | 10,802 | 37,429 | 13,818 |
2016 | 1,112,812 | 633,875 | 719,603 | 289,784 | 80,277 | 65,327 | 255,439 | 255,554 | 23,377 | 11,177 | 34,116 | 12,033 |
2015 | 1,107,751 | 629,660 | 719,881 | 290,456 | 81,044 | 65,658 | 250,707 | 251,495 | 23,870 | 11,374 | 32,251 | 10,678 |
가정용 상수도 요금
[단위 : 1, 000㎥, 백만원, 원/㎥]
년도 | 가정용 급수 사용량 | 가정용 수도요금 부과금액 | 가정용 상수도 요금 (톤당평균) |
---|---|---|---|
2019 | 708,380 | 285,372 | 402.9 |
2018 | 714,080 | 287,600 | 403.5 |
2017 | 713,075 | 287,320 | 403.5 |
2016 | 719,603 | 289,784 | 402.7 |
2015 | 719,881 | 290,456 | 403.5 |
상수도 생산량
[단위 : 시설용량㎥/일, 생산실적㎥]
년도 | 구분 | 합계 | 광암 | 구의 | 뚝도 | 영등포 | 암사 | 강북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2019 | 시설 용량 |
4,800,000 | 400,000 | 500,000 | 700,000 | 600,000 | 1,600,000 | 1,000,000 |
생산 실적 |
1,157,016,773 | 75,310,155 | 134,172,100 | 160,976,517 | 161,301,026 | 371,928,970 | 253,328,005 | |
2018 | 시설 용량 |
4,800,000 | 400,000 | 500,000 | 700,000 | 600,000 | 1,600,000 | 1,000,000 |
생산 실적 |
1,169,585,797 | 73,347,500 | 138,016,724 | 160,563,307 | 161,590,073 | 394,699,507 | 241,368,686 | |
2017 | 시설 용량 |
4,800,000 | 400,000 | 500,000 | 700,000 | 600,000 | 1,600,000 | 1,000,000 |
생산 실적 |
1,149,881,399 | 73,343,409 | 113,034,054 | 134,082,068 | 162,589,697 | 395,124,166 | 271,708,005 | |
2016 | 시설 용량 |
4,450,000 | 400,000 | 500,000 | 350,000 | 600,000 | 1,600,000 | 1,000,000 |
생산 실적 |
1,162,267,583 | 78,624,040 | 134,509,028 | 86,506,177 | 162,705,946 | 410,232,200 | 289,690,192 | |
2015 | 시설 용량 |
4,450,000 | 400,000 | 500,000 | 350,000 | 600,000 | 1,600,000 | 1,000,000 |
생산 실적 |
1,156,808,203 | 80,347,600 | 105,670,512 | 109,460,995 | 159,734,451 | 408,150,244 | 293,444,401 |